티스토리 뷰

반응형

AI를 활용한 미래 예측 주식 투자법 - 전쟁불안, 미국패권, 비트코인 불장

투자란 기다림과의 싸움이고, 잠깐 눈 앞에 보이는 오르고 떨어짐에 기대지 말고, 내가 분석한 투자 방향을 굳게 믿는 것이 중요한 거 아니겠습니까?

사람은 시각적인 것에 동요되는 것 같습니다. 불장에 따라탔다가, 급락하는 모습에 다같이 던지고.. 이렇게 기관만 이득을 보고.. 개미라도 주식을 조금이라도 공부했다면 맨 처음 들어갔을 때 그런 하락이나 상승에 휘둘려야지 마음먹고 들어간 사람은 없을 것 입니다.

앞으로 이 기업은 계속해서 성장해나가겠다 라고 분석하고 확신이 섰다면 그대로 밀고 가야 맞는건데 그게 참 어렵습니다.. 그죠..?

오늘은 그 누구보다 이성적인 사고 판단이 가능한 AI를 이용해 투자 및 전망을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I는 그런 감정이 없기 때문에 현 상황을 이성적으로 바라보고 투자에 대한 지표를 내어줄 것 같으니까요. 제가 사용한 AI는 CHAT GPT 4o입니다.

AI에게 현재 경제 상황 전달

현재 세계 경제 상황을 정리하면, 미국의 실업률은 4.3%, 미국 고용률 15.2 현재 미국 금리 5.5% -> 연준에서 금리 인하를 시사하기도 했음. 일본의 금리인상 및 엔캐리 트레이드, 미국 대선(11월) 미국 물가 수준과 금리는 불안한 상황에서 소비는 줄고 빚은 늘어가고,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있는 고금리와, 빚으로 빚을 갚는 미국 정부의 과도한 부채, 8월 3일 빅테크 쇼크로 인한 반도체, AI관련주 급락(실적 둔화 및 엔비디아의 반도체 결함) 8월 5일 코스피, 코스다가 급락, 이스라엘과 하마스(이란) 전쟁 불안감, 러우 전쟁은 아직도 진행중 비트코인은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있으나, 반감기 이후 6개월에 도달하고 있음 위와 같은 상황을 기반으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어떤 투자를 하는게 맞을까? 너가 좀 도와줄래?

그랬더니 다음과 같이 답변을 주더군요.

안전 자산 선호

미국의 금리가 높고, 경제적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전통적으로 안전 자산으로 간주되는

금, 미국 국채, 또는 현금을 일부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화된 포트폴리오 구성

경제적 불확실성이 클 때는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채권, 원자재, 부동산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방어적 주식 투자

고금리와 경기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필수 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 등 방어적인 섹터에 대한 투자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현금 보유와 기회 포착

시장의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현금을 일정 부분 보유하여,

시장이 급락할 때 저가 매수의 기회를 노리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아직 고점을 갱신하지 못했지만,

반감기 이후 상승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정 부분 투자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매우 크므로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작은 비중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중기적 관점의 빅테크 및 AI 관련주 재검토

빅테크와 AI 관련주는 최근 급락했지만,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중기적으로 매력적인 투자 대상일 수 있습니다.

실적이 개선될 때를 대비해 저가 매수 기회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정치적 리스크 주의

미국 대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긴장, 러우 전쟁 등

정치적 리스크가 큰 상황에서,

이러한 리스크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일부 동의도 하면서, 일부는 갸우뚱 했는데요.

AI의 답변도 미국이 패권을 계속 갖고,

지난 50년, 80년처럼 우상향 한다는 가정이 있을 때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 블라인드에 올라온 글을 대입해 보겠습니다.

재미로만 봐주세요

AI의 답변..

미국 국채 및 금

TLT(TMF)

TMF는 TLT의 3배 레버리지 상품으로, 극도로 변동성이 큽니다.

전쟁으로 인해 미국 채권이 일정 기간 동안은 안전 자산으로 선호될 수 있지만,

달러와 미국 경제의 붕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TMF와 같은 레버리지 상품을 모두 매도하고,

그 자금을 안전 자산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 및 금 관련 자산

금은 전통적인 안전 자산으로, 극도의 경제 불안 상황에서

가치가 보존될 수 있습니다.

**SPDR Gold Shares (GLD)**와 같은 금 ETF나,

금광 기업 주식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작성자의 첨언

GLD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금 ETF로

2004년에 뉴욕 증권 거래소 상장되었으며

세계 최대규모 실물 담보 금 상장지수펀로

금 원자재 100%를 보유하고있음.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극단적인 경제 위기 상황에서는 변동성이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에 일부 남겨두되,

알트코인은 상대적으로 더 위험하기 때문에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트코인 비중 조정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비트코인의 비중을 줄이고,

안전 자산과 금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일드맥스 초고배당 ETF(TSLY, YBIT, CONY, NVDY)

이러한 고배당 ETF들은 배당 수익률이 높지만,

경제 붕괴 시기에는 기업들의 배당이 삭감되거나 중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 고배당 ETF들을 매도하고,

그 자금을 보다 안정적인 자산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개발도상국 (인도 펀드)

개발도상국 시장은 글로벌 경제 위기에서 특히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도 펀드를 포함한 개발도상국 자산을 매도하고,

그 자금을 안전 자산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엔비디아 테슬라

엔비디아테슬라는 장기적으로 강력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업이지만,

전쟁과 글로벌 경제 위기 상황에서는 극심한 변동성을 겪을 것입니다.

일부 비중을 유지할 수 있으나, 상당 부분을 매도하여 위험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자금을 안전 자산과 금에 재투자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부동산

부동산 자산이 없다고 했지만, 부동산에 대한 직접 투자는 어렵다면,

**리츠(REITs)**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경기 침체가 예상되므로 리츠의 비중을 크게 두기보다는

포트폴리오의 일부분으로만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포트폴리오 제안

금 및 금 관련 ETF: 30%

미국 단기 국채 ETF: 25% (예: 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 - SHV)

현금 및 달러 자산: 20%

비트코인: 10% (알트코인 매도 후 비트코인에 일부 재투자)

방어적 섹터 ETF: 10% (필수 소비재, 헬스케어)

부동산 리츠(REITs): 5%

정리하자면 위와 같다.


이걸 보고 느낀점은

AI는 굉장히 방어적이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큰 돈을 벌지 못하더라도 지금 갖고있는 자산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AI의 투자법은 어찌보면

버핏옹과 비슷한 것 같기도 하고..

안전을 추구하는 것이..

만약 이번 사이클이 지나게 되면

나는 알게될 것 같다.

내 직감이 맞는지?

아니면 ai의 이성적인 판단이 맞는지

시장은 이성적인 판단으로 접근해야 한다지만

지금 비트코인과 미국국채, 일드맥스 초고배당을

포기하기가 어렵다.

-%구간이기도 하고..

이번 사이클이 지나게 되면 알게되겠지..

만약 ai가 맞았다면, 앞으로

ai 투자법만을 고수하도록 하겠다.

약속~

#주식투자

#AI투자

#AI주식투자

#주식전망

#비트코인불장

#TMF

#전쟁미국채권

#투자공부

반응형